청년 대상 금융 정책 도입 목적과 기대 효과
대한민국정부에서 실시하는 청년 대상 금융 정책은 대표적으로 내일채움공제,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등이 있습니다.
이는 모두 청년들의 경제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들이며, 청년층의 경제적 안정성 증대 및 개인 자산 증대, 경제활동 참여 증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제도의 도입 목적과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내일채움공제
▪도입목적: 청년층의 안정적인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세대간 소득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으로 도입됨
▪기대효과: 청년층의 저축 의지와 경제활동 촉진 효과를 기대함으로써, 청년층의 경제적 안정성 증대 및 개인 소득세 부담 완화 기대
2) 청년희망적금
▪도입목적: 청년들의 장기적인 저축 습관을 길러주고, 저축을 통한 청년 자립 촉진 및 미래를 위한 자금 모으기를 위해 도입됨
▪기대효과: 청년들이 금융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저축 습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또한, 장기적으로는 개인 자산 증대 및 경제적 자립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함.
3) 청년도약계좌
▪도입목적: 저소득 청년층의 자립을 위한 지원책으로 도입됨
▪기대효과: 저소득 청년층이 경제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경제활동 참여 증대 및 청년 취업률 상승 기대
청년 대상 금융 정책을 통한 경제적인 효과
앞서 언급한 정책들은 청년들의 경제적 안정성 증대 및 경제활동 참여 증대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이 금융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의 양 등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청년층의 소득 증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상으로 지정된 청년들은 연간 최대 2백만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청년층의 소득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인 소득세 부담 완화: 내일채움공제를 통해 저축한 금액은 소득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개인 소득세 부담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경제활동 참여 증대: 저소득 청년층이 경제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경제활동 참여 증대 효과가 있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습니다.
▪금융시장 활성화: 저축을 통해 금융자산이 증가하면, 금융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증가하여
금융시장 활성화 효과가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기간 금액
월 70만원을 5년 납입하면 약 5,000만원을 적립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2023년 6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기간을 출시 전에 미리 알려드립니다!
■ 납입금에 정부 기여금을 더합니다.
- 소득이 적으면 더 두텁게 지원해드립니다.
■ 이자에는 비과세 혜택을 드립니다.
- 가입 후 3년까지는 고정금리를,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금리 수준은 곧 확정할 예정입니다.
■ 만19세~34세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 한 해 총 급여가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 대상입니다. *군 복무기간은 나이 계산에서 뺍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에도 동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셨다면 만기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전체 | 카드/한컷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청년도약계좌’ 6월 출시 전 미리 알려드려요!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뉴스포털.
www.korea.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