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운동 및 기타]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팁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조회,항목(일반,암),비용

by 작던거인 2023. 2. 20.
반응형

 

 

국가건강검진은 우리 나라 사망 원인 상위권에 해당하는 암, 심/뇌혈관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 또는 생활습관 개선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자 시작되었습니다. 오래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강하게 사는 것도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는데요.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매해 건강검진을 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바쁜 일상에 시간 내기가 여의치 않다면, 국가건강검진 기간을 챙기시어 대상자가 되는 해라도 잘 챙겨보시면 어떨까요? 국가건강검진은 일반건강검진은 무료로, 암검진은 수검자가 10%만 부담하면 되는 건강검진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는 누구이고, 항목은 무엇인지, 어떻게 조회할 수 있는 지까지 꼼꼼하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일반건강검진 대상자는 지역세대주, 직장가입자,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20세~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입니다. 직장가입자는 일반건강검진 대상 여부가 소속 사업장으로 통보되며, 이외의 대상자들은 주민등록 주소지로 건강검진표가 우편으로 발송됩니다. 최근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우편 대신 전자문서로 발급되오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 비사무직이라 매년 한번씩 받게 됩니다.

 

대상
주기
지역세대주
매 2년마다 1회
직장가입자
사무직
매 2년마다 1회
비사무직
매년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매 2년마다 1회
20세~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
매 2년마다 1회

건강검진시 건강검진표를 꼭 지참하셔야 하는 것은 아니고, 금년도 검진대상이 확인되었다면 신분증을 지참하고 검진기관에 방문하여도 검진이 가능합니다.

 

국가건강검진은 2부제로 운영되고 있는데, 홀수해는 홀수년도 출생자, 짝수해는 짝수년도 출생자로, 2023년 건강검진대상자는 홀수년도 출생자입니다.* 직장가입자 중 비사무직은 매년 실시합니다.

2005년생부터로 2023년 국가검진대상자는 2005년생, 2003년생, 2001년생, 1999년생, 1997년생, 1995년생, 1993년생, 1991년생, 1989년생, 1987년생, 1985년생, 1983년생, 1981년생, 1979년생, 1977년생, 1975년생, 1973년생, 1971년생, 1969년생, 1967년생, 1965년생, 1963년생, 1961년생, 1959년생, 1957년생, 1955년생, 1953년생, 1951년생, 1949년생, 1947년생, 1945년생, 1943년생, 1941년생이 해당됩니다.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또는 The 건강보험 앱을 설치하시면 올해 대상자인지 어떤 항목이 수검 대상인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바로 가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나 어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은 어플에서도 검진결과도 다 볼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국가건강검진 항목

국가건강검진 항목 1. 일반건강검진 항목 - 공통검사항목

성별과 나이에 상관 없이 공통으로 수검하는 검사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중, 시력과 청력은 운전면허 신체검사 수치로 활용되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는 교정 시력으로 검사를 받습니다.

일반건강검진 결과 고혈압, 당뇨병, 폐결핵이 의심된다면 가까운 병,의원에서 확진검사 및 진료를 실시해야 합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건강검진 항목 2. 일반건강검진 항목 - 성연령별 검사항목

아래 항목들이 추가로 된다고 해서 검진 항목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이상지질혈증, B형간염검사의 경우 공통검사 항목을 위해 체취하는 채혈로 같이 검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이름을 들으면 잘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치면세균막 검사가 좀 생소하지 않으신가요? 치아 표면에 색소를 도포하여, 세균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검사입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0

​국가건강검진 항목 3. 암 검진 항목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암 검진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폐암의 6대암이 해당됩니다. 암은 확진 시기에 따라 5년 생존율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가장 생존율이 높은 초기(국한) 단계에서 확진을 위해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한 항목입니다. 연령, 성별, 기저 상태에 따라 수검 대상자가 달라집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항목
대상 및 주기
비고
1. 위암
40세 이상, 2년 주기
위내시경이 어려운경우 위장조영 검사 선택적으로 시행 가능
2. 대장암
50세 이상, 1년마다 분별잠혈검사(FOBT) 후 양성판정자는 대장내시경검사 실시
분별잠혈검사 없이 대장내시경 또는 대장 이중조영 촬영검사 받을 경우 전액 본인 부담
3. 간암
40세 이상 간암고위험군 대상자는 6개월마다 간 초음파, 혈액검사
고위험군 : 간경변증,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 양성,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
4. 유방암
4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
유방압박으로 인한 고통이 수반될 수 있으며, 검사 도중 멈출 수 있음
5. 자궁경부암
2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
자궁적출술을 받았거나 성경험이 없을 경우 검사전 검진의와 상담
6. 폐암
54세~74세 이상 폐암발생 고위험군 대상자는 2년마다 저선량 흉부CT검사 및 사후결과상담
고위험군 : 전회차 건강검진 시 하루 1갑 기준 30년 이상 흡연한 자로 현재 흡연중인 자

2023년 국가건강검진 비용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정한 대상자가 수검할 경우 일반건강검진항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전액 부담하며, 암검진의 경우 항목별 대상자에 한 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90%, 수검자가 10% 부담합니다. 단, 대장암과 자궁경부암은 전액 공단에서 부담하며, 국가암검진 사업 대상자,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수검자 부담이 없습니다.

​2023년 국가건강검진 연초에 해야 하는 이유

1-3월은 연중 가장 건강검진 수검율이 낮은 시기입니다. 수검자가 몰릴 경우 검사 시간이 지연되고, 원하는 날짜에 수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검자가 몰리지 않은 연초에 쾌적하게 검진 받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2023년 국가건강검진 검진 전 안내사항

검진 전날 저녁 9시 이후에는 금식하셔야 하며, 검진 전 최소 8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를 유지하여야 합니다. 검진 당일 아침에는 식사는 물론, 물, 커피, 우유, 담배, 주스, 껌 등 일체의 음식을 삼가야 합니다.

문진표는 현장에서 작성하여도 되나, 비대면으로 문진표를 미리 작성하면 작성하는 데 시간이 줄어듭니다. 검진 기관에 따라 따로 링크를 안내하는 곳도 있으니, 안내되는 모바일 문진표를 사전 작성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수면 내시경을 할 경우 당일 자가 운전은 위험하오니, 대중 교통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